깊은바다거북
개발 공부 기록
깊은바다거북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219)
    • JAVA (9)
    • JavaScript (15)
    • 스파르타코딩클럽 (11)
      • [내일배움단] 웹개발 종합반 개발일지 (5)
      • [내일배움캠프] 프로젝트와 트러블 슈팅 (6)
    • SQL | NoSQL (4)
    • CS 등등 (0)
    • TIL | WIL (173)
    • 기타 에러 해결 (3)
    • 내 살 길 궁리 (4)

인기 글

최근 글

최근 댓글

태그

  • 최대 힙(Max Heap)
  • Binary Tree(이진 트리)
  • 시간 복잡도
  • TIT (Today I Troubleshot)
  •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
  • Backtracking(백트래킹)
  • TypeScript
  • DFS(깊이우선탐색)
  • Preorder Traversal(전위 순회)
  • tree
  •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
  • 자잘한 에러 해결
  • POST / GET 요청
  • 트러블 슈팅 Troubleshooting
  • Linked List
  • 코딩테스트 연습문제
  • 점화식(Recurrence Relation)
  • Leetcode
  • BFS(너비우선탐색)
  • 최소 힙(Min Heap)
  • Trie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BST(이진 탐색 트리)
  • Til
  • 01. 미니 프로젝트
  • 재귀 함수
  • 자료 구조
  • leetcode-cli
  • 팀 프로젝트
  • Inorder Traversal(중위 순회)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깊은바다거북

개발 공부 기록

TIL | WIL

4/24 월 (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과 분류) TIL

2023. 4. 24. 19:54

클라우드 (Cloud) 컴퓨팅이란

: IT 시스템을 직접 구매하는 대신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

: 인터넷을 통해 구독 기반의 데이터 스토리지, 보안, 네트워킹,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.

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분류

  1. SaaS, Software as a Service

    :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되는 완전한 제품을 서비스하는 것.

    한 마디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.

    서비스 제공자는백업, 유지보수, 업데이트를 관리한다.

    SaaS 솔루션의 종류에는 전사적 자원 관리(ERP), 고객 관계 관리(CRM), 프로젝트 관리 등이 포함된다.

  1. PaaS, Platform as a Service

    :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. 개발자는 자신의 앱을 구축하고 배포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고, 구독 또는 종량제(pay-per-use) 방식으로 비용을 지불한다.

  1. IaaS, Infrastructure as a Service

    : 회사에서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, 운영 체제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를 종량제로 '임대'할 수 있는 서비스.

계층별로 정렬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:

출처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클라우드_컴퓨팅

서비스 유형별(IaaS vs PaaS vs SaaS) 비교:

SaaSPaaSIaaS
서비스 이용자일반 소비자 (현업 사용자)개발자기업 (시스템 관리자)
주류 서비스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개발 플랫폼컴퓨팅 리소스
용도비즈니스 업무 처리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배포스토리지, 네트워킹, 서버, 인프라에 온라인으로 액세스
종류네이버 클라우드, 드롭박스, 구글 문서(워크스페이스) 등구글의 APP 엔진, Heroku 등AWS EC2,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 Compute, MS Azure,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
서비스 제공자(벤더)가 관리하는 항목앱, 데이터, 런타임, 미들웨어, O/S, 가상화,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킹런타임, 미들웨어, O/S, 가상화,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킹가상화,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킹
서비스 이용자가 관리하는 항목해당 없음 (서비스 제공자가 모두 관리)앱, 데이터 (개발자가 자신의 앱과 데이터를 관리)앱, 데이터, 런타임, 미들웨어, O/S

배포 유형에 따른 분류

(참고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클라우드_컴퓨팅)
  1. 프라이빗 클라우드: 방화벽으로 보호되는 비공개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사용(유지보수)하는 것. 자체 데이터 센터 내에 프라이빗 클라우드(=온프레미스 인프라)를 구축할 수도 있고 사업자가 호스팅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등록할 수도 있다. 가장 강력한 수준의 보안과 제어를 제공한다.

    ⇒ 민감한 데이터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정부 기관, 의료 서비스 사업자, 은행, 기업에게 적합한 방식이다.

  1. 퍼블릭 클라우드: 사업자의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상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.

    ⇒ 최신 SaaS와 탄력적인 IaaS를 낮은 비용으로 활용하려는 기업에게 적합한 유형이다.

  1. 하이브리드 클라우드: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, 프라이빗 클라우드, 온프레미스 인프라가 결합된 형태. 민감한 정보를 기존 데이터 센터나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보관할 수 있으며 퍼블릭 클라우드 리소스를 활용하는 식으로 운영한다.

    ⇒ 핵심 앱과 데이터를 비공개로 유지하면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기업에 적합하다.

  • 온프레미스 (on-premise)란?

    : 클라우드와 반대되는 개념. 기업의 서버를 자체 시설에서 보유하고 직접 유지 관리하는 방식.

    • 퍼블릭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스토리지와 인프라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저렴하다.
    •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데이터 센터, 전력, IT 직원 등의 온프레미스 리소스가 필요할 수 있어 비용이 많이 든다.

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

  • 유연성: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컴퓨팅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.
  • 경제성: 필요한 만큼만 지불하면 되므로 설치, 유지보수, 도입 및 전환 비용이 절약된다.
  • 최신 상태 유지: 클라우드 제공 업체 쪽에서 플랫폼, 데이터베이스,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언제나 최신 버전으로 유지해줌. 또한 머신러닝(ML), 인공지능(AI), 사물인터넷(IoT) 등 최신 기술을 반영하고 서비스 해주므로.
  • 신뢰성: 보통 기업(소비자) 자체의 데이터 보안보다 안전함.

  • 클라우드 보안에 대하여

    클라우드의 보안 수준은 배포 방식과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역량에 달려 있지만, 대부분의 경우 온프레미스 설치보다는 클라우드의 보안성이 더 높다고 한다.

    •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장점이 있다.
    • 클라우드 사업자가 (보안 전문가를 상주시켜)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.
    • 백업이 쉽고 안전하다.

참고:

클라우드 101: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란? | SAP Insights
클라우드 컴퓨팅이란? SaaS, PaaS, IaaS를 비롯한 클라우드 기술에 관해 알아보세요. 배포 모델을 살펴보고 최신 트렌드를 가장 먼저 파악하세요.
https://www.sap.com/korea/insights/what-is-cloud-computing.html


※ 위 내용은 스스로 공부하며 적어둔 노트이며 불확실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학습용으로 적합하지 않음을 유념해주세요. ※


Uploaded by N2T

    'TIL |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4/25 화 (정규표현식) TIL
    • 4/25 화 [프로그래머스] 해시(Hash), 완주하지 못한 선수와 Object, Map의 시간복잡도 TIL
    • 4/24 월 [프로그래머스] 해시(Hash) 문제와 이터러블(Iterable) TIL
    • 4/21 금 (모듈과 테스트 코드에 대하여) TIL
    깊은바다거북
    깊은바다거북

    티스토리툴바